[보도자료] 한국인 1인당 인적자본 가치는 OECD 2위(2021-06-02 배포)

2021-06-07

- LAB2050 연구팀이 1997년부터 2019년까지의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여 화폐가치로 환산한 결과, 한국인 1인당 5,425달러로 나타남

- 한국의 국민 1인당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는 지난 20여 년간 3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현재 OECD 국가들 중 2번째로 높게 나타남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가 지난 20년간 3배 가까이 증가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내용은 민간 싱크탱크 LAB2050(랩이공오공)이 1997년부터 2019년까지 OECD 국가들의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한 결과 밝혀졌다.

LAB2050 연구팀은 고등교육 인구수와 국제성인역량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국제적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한국의 1인당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는 지난 20여 년간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19년에는 OECD 28개 국가 중 최고 수준인 2위까지 올라섰다.

이 연구는 LAB2050이 진행 중인 ‘참성장지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서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는 고등교육 등을 통해 형성된 개인의 역량이 사회적으로 만들어 내는 긍정적 파급효과(spill-over effect)의 총합이다. 측정 결과, 한국 국민 1인당 창출하는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는 연간 1,912달러에서 2019년 5,425달러로 높아졌다. 이는 OECD 국가 중 캐나다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LAB2050 연구팀은 기존 연구를 감안해 고등교육(전문대 졸 이상) 이수자 1명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연간 2만 달러로 측정했으며, 여기에 성인의 인지 역량 수준, 학력별 역량 격차를 반영해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 총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가치 총량을 전 국민 총인구 수로 나누어서 국민 1인당 인적자본의 사회적 가치를 산출했다.

이를 위해 25~64세 고등교육(전문대 졸 이상) 인구수(OECD 통계 기준)와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이하 PIAAC)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는 전 세계 4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성인 개인의 인지 능력과 정보처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는 조사이다.

*일부 국가는 1997년, 또는 2019년의 25~64세 인구의 교육수준별 비중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1997년, 또는 2019년에 가장 가까운 연도의 정보로 비교함. 네덜란드는 1998년, 노르웨이는 2005년, 뉴질랜드는 2014년, 덴마크는 1998년, 리투아니아는 2000년, 벨기에는 2000년, 슬로베니아는 2000년, 아일랜드는 2000년, 오스트리아는 2004년, 이스라엘은 2001년, 이탈리아는 1998년, 칠레는 2009년과 2017년, 핀란드는 2000년 정보를 활용함.

출처 1: OECD Stat(https://stats.oecd.org/, 검색일: 2021.4.14.),
2: OECD(2012), Survey of Adult Skills (PIAAC) 원자료.

 

본 연구를 수행한 반가운 LAB2050 연구자문위원(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의 시기에 우리나라는 많은 이들의 우려와 달리 이미 상당 수준의 인적자본이 사회적으로 축적된 것으로 보인다. 이 인적자본을 어떻게 잘 활용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해 나갈지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LAB2050 이원재 대표는 “이번 연구 결과 한국인의 역량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현재 사회 구조가 이런 역량을 활용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지는 의문”이라며 “개인이 자율성을 최대한 살리며 역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용과 사회보장체제를 전환해 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의 배경이 된 ‘참성장지표’는 성장지상주의 관점의 지표인 GDP를 넘어, 지속가능성과 공존의 가치를 품은 새로운 사회⋅경제 발전 지표로 현재 LAB2050 연구팀에서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새로운 경제의 상상: 인간, 자연, 공동체, 디지털의 가치를 담다”를 주제로 열리는 LAB2050 국제 전문가 세미나에서 공개된다. 이 세미나는 6월 16일(수) 13시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LAB2050 유튜브 채널(youtube.com/LAB2050TV)을 통해 실시간 시청이 가능하다.

출처 1: OECD Stat(https://stats.oecd.org/, 검색일: 2021.4.14.),
2: OECD(2012), Survey of Adult Skills (PIAAC) 원자료.

 

보도자료 원문은 첨부파일로 다운로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hwp/pdf)

재단법인 랩2050
대표. 정건화

사업자등록번호. 432-82-00260

E-MAIL. hello@lab2050.org

전화. 02-6365-2050


          .    


Copyright ⓒ LAB2050 all rights reserved.
재단법인 랩2050
대표. 정건화   l   사업자등록번호. 432-82-00260

E-MAIL. hello@lab2050.org   l   전화. 02-6365-2050

Copyright ⓒ LAB2050 all rights reserved.

.      .      .